Oreo Structure 2025. 10. 19. 17:44
반응형
2024_응용역학개론_국가직_9급_풀이.pdf
2.06MB
240323 국가 9급 응용역학개론-가.pdf
0.77MB

2024년 9급 응용역학개론 기출 풀이 총평

2024년 9급 응용역학개론 시험은 전반적으로 기존에 출제되던 유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기본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면 계산이 복잡하지 않고, 빠르게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대부분이었다.


1. 전반적 경향

이번 시험은 기본 원리를 명확히 알고 있는 수험생이라면 큰 어려움 없이 풀 수 있는 수준이었다.
공식 암기보다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공부했다면 계산 과정이 거의 필요하지 않은 문제들이 많았다.


2. 신유형 문항

이번 시험에서 눈에 띄는 새로운 유형은 13번 문제였다.
Müller-Breslau의 영향선법을 활용하는 문제로,
가상변위의 법칙을 이해하고 있다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다.
거더 하단에 전단 해제(shear release)가 주어졌을 때,
위쪽 바닥판의 변형 형태가 그대로 영향선의 모양이 된다.


3. 개념 이해가 중요한 문항

7번 문제는 단면의 특성과 응력 분포에 대한 기본 개념을 묻는 문제였다.
단면의 도심, 응력 중심, 전단응력의 분포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8번, 12번, 15번 문제는 강체와 축부재가 함께 있는 구조물의 거동을 묻는 문제였다.
이런 유형에서는 강체의 회전이나 평행이동이 축부재의 변형을 결정하므로
힘을 구하기보다 변형 관계로 접근하면 훨씬 쉽게 풀 수 있다.
2013년 7급 시험에서도 비슷한 형태가 출제된 바 있다.
당시에는 하중 대신 변형량을 구하는 형태였지만, 난이도는 쉬운 유형에 속한다.


4. 계산량별 구분

거의 계산이 필요 없거나, 간단한 대입만으로 풀리는 문항은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약간의 계산이 필요한 문제는 20번 한 문항뿐이었다.


5. 종합 평가

2024년 시험은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매우 적절했다.
기출문제를 충분히 반복 학습한 수험생이라면
고득점을 달성하기 어려움이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핵심은 복잡한 계산보다 개념의 명확한 이해였다.
가상변위, 영향선, 강체 운동, 축변형 관계 등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면
대부분의 문제는 짧은 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었다.


6. 결론

이번 시험은 응용역학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출제된 전형적인 유형이었다.
공식을 무작정 암기하기보다는 각 개념이 물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이해하고 있는 수험생에게 유리한 시험이었다.
기출문제 반복만으로도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며,
앞으로의 출제 경향 역시 이러한 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2024년 9급 국가직 응용역학개론 1번 ~ 4번
2024년 9급 국가직 응용역학개론 5번 ~ 8번
2024년 9급 국가직 응용역학개론 9번 ~ 12번
2024년 9급 국가직 응용역학개론 13번 ~ 16번
2024년 9급 국가직 응용역학개론 17번 ~ 20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