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급 9급 시험/2025년 7급 공무원 서울시

2025년 7급 서울시 응용역학 풀이 (유연도와 강성도에 익숙해지자)

Oreo Structure 2025. 11. 1. 22:12
반응형
응용역학(7급).pdf
0.58MB
2025_응용역학_서울시_7급_solution.pdf
3.90MB

 

“바로 풀린다” 리스트 (문제당 30초 내외)

  • 1, 2, 3, 6 (부재의 부피 산정 매우 간단), 7(보기 활용), 9 (출제자의 배려), 10 (보기 활용)
    11 (변위일치 공식을 알려줌), 13(전형적인 유형), 14 (가상일의 원리, 부재수도 2개만)
    16 (자주 쓰이는 Stiffness 암기시 매우 수월), 17 (출제자의 배려), 18 (매우 간단한 단면법)
    19 (스프링의 병렬연결)

“시간이 걸리지만 풀만하다” 리스트

  • 4 (최대 모멘트 위치 파악), 8, 12 (물성치가 많으면 하나를 기준으로 몇배수인지 보자),
    15 (변형률 값이 기하학적으로 들어오지 않아 불가피하게 공식 활용)
    20 (에너지 법_ 충격하중의 원리)

“나머지 풀고 되돌아 오자” 리스트

  • 5 (영부재가 많아서 실수할 가능성 있다)

1. 총평

이번 시험에서도 기존에 자주 출제되던 유형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 시험장에서 풀었을 때는,
처음 마주했을 때 계산과정이 좀 있을 것 같은 문제들이 일부 있었지만,
자세히 보면 숫자가 6 또는 12의 배수로 설정된 경우가 많아, I 값, FEM, S값 등을 계산할 때 연산이 간편하도록 의도된 구성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평이한 난이도로 평가할 수 있으며, 작년 서울시 시험과 비교했을 때는 상대적으로 무난하고 접근하기 쉬운 수준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시험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듯이,
7급 응용역학 시험은 기존에 자주 등장하는 유형에 대한 숙련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즉, 기출문제를 단순히 한두 번 푸는 데서 그치지 않고,
기계적으로 반복하면서 유형 자체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문제를 풀 때에는 한 가지 방식에만 의존하지 말고 다각도로 구조를 분석해 보며,
복잡한 문제를 간단한 구조물로 치환해서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셔야 합니다.
여기에 유연도와 강성도에 대한 감(感) 이 더해진다면, 충분히 고득점을 노릴 수 있는 수준의 실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1번 2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3번 4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5번 6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7번 8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9번 10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11번 12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13번 14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15번 16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17번 18번
202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19번 20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