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빈출유형 + 개념유형 +“바로 풀린다” 리스트 (문제당 30초 내외)
- 1, 2,3,4,5,6,7,8,9,10,11,12,13,14,15,17,18,19
가끔 나오는 유형 혹은 “시간이 걸리지만 풀만하다” 리스트
- 12(정역학 문제), 16 (절대최대모멘트),20
“나머지 풀고 되돌아 오자” 리스트
- 없음
1. 총평
2023년 9급 지방직 응용역학개론은 전반적으로 기본 개념과 기존 빈출 유형에 충실한 시험이었습니다.
따라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주 나오는 문제 유형을 꾸준히 연습한 수험생이라면 고득점이 충분히 가능한 시험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1) 계산의 효율성을 높이는 접근
기존에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라 하더라도,
계산을 단순화하고 명확하게 정리하는 방법을 연구한 수험생이라면
풀이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번 해설에서는 **힘의 평형방정식으로 풀 수 있는 문제들도 가상변위의 법칙(Virtual Work Principle)**으로 접근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상변위의 법칙을 적용하면, 결과적으로 평형방정식과 동일한 관계식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 최소한의 평형조건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단순히 공식을 암기하기보다
‘가상변위의 법칙을 통해 평형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학습하면
문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계산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보기 활용 전략
이번 시험에서는 보기(선지)만 잘 활용해도
정답을 2~3개 이내로 빠르게 압축할 수 있는 문제가 여러 개 보였습니다.
이러한 ‘보기 활용 장치’는 단순한 운이 아니라 출제 의도의 일부입니다.
이를 충분히 익히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제한된 시간 안에서 효율적으로 문제 풀이 가능
- 실수나 계산 오류 시에도 정답 확률을 높일 수 있음
- 시험 중 멘탈 관리와 시간 분배에 큰 도움이 됨
(3) 정리하며
2023년 9급 지방직 응용역학개론은
개념 중심 + 빈출유형 중심 + 계산 단순화 가능성
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많이 풀어본 문제’에 만족하지 말고,
“이 문제는 최소한의 평형방정식으로도 풀 수 있을까?”
라는 관점에서 풀이법을 연구한다면
앞으로의 시험에서도 한 단계 높은 수준의 효율적 풀이가 가능할 것입니다.
2. 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