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급 응용역학 6

2023년 7급 지방직 응용역학

2023년도 7급 지방직 응용역학개론 풀이 총평2023년도 7급 지방직 응용역학개론은 전반적으로 계산 부담이 적고 개념 중심으로 구성된 시험이었습니다.계산보다는 정답으로 향하는 사고 과정과 구조적 이해력을 평가하는 문제들이 많았으며,따라서 개념만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면 짧은 시간 내 대부분의 문항을 해결할 수 있는 시험이었습니다.✦ 문제 난이도 및 풀이 시간 분류구분특징해당 문항계산이 아예 필요 없는 문제개념·정의만으로 해결 가능2, 12, 15, 16, 18계산이 거의 필요 없는 문제단순 대입·직관으로 1분 내 풀이 가능1, 3, 4, 5, 8, 9, 13, 14, 17, 19계산이 조금 필요한 문제간단한 평형방정식 정도로 해결 가능6, 7, 11, 20계산이 조금 많은 문제단일 문항 기준 연산이 가장..

2025년 7급 응용역학 가형 24번 풀이

1. 개요1. 문제 접근 해당 트러스 구조물은 정정 구조물입니다.많은 수험생들이 제작 오차 문제가 나오면 에너지법(단위하중법 등)에 먼저 손을 대곤 합니다. 실제로 시중 문제집에서도 이를 대표 풀이로 많이 소개하고 있죠.하지만 7급 응용역학 시험에서는 조금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부재가 8개이고, D점에 수평하중 1 → 수직하중 1을 주어 가상하중법으로 해석하는 과정이 시험장에서 정말 쓸 수 있는 방법일까요? 현실적으로는 시간 압박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평형방정식에만 매달리지 않고 전체 구조물 관점에서 직관적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것을 권합니다. 2. 정정성 확인 먼저 이 구조물이 정정인지부터 살펴봅니다. 자유도로 정정 부정정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기때문에 간략하게 소개드..

2021년 7급 응용역학 가형 9번 풀이

1. 개요이 문제는 전 부재가 강체라는 매우 특이한 장치가 있습니다.강체가 있다는 사실에 두려워 할 필요 없습니다. 강체는 오히려 역학문제를 더 쉽게 해줍니다.여러 종속변위를 만들어 구조물의 거동을 단순화 시키고 심지어 부정정 차수를 낮춰줍니다.강체가 종속변위를 만드는 조건식은 다음과 같습니다.(1) 축방향 변형이 없음(2) 강체 間 유지하는 각도 유지 참고로 (2)의 경우 구조기술사나 기술고시 문제를 풀 때 구조물의 소성해석시 상한계해석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붕괴 메커니즘에 따른 Mp 산정시 변형도를 그리는데 매우 유용합니다.이번 문제는 전 부재가 강체라는 다소 특이한 장치를 가지고 있습니다.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강체가 있다고 해서 문제가 복잡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문제를 더 쉽게 풀..

2021년 7급 응용역학 가형 11번 풀이

1. 개요이 문제는 전형적인 변위일치 문제로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풀이의 초점을 변위 자체에 두느냐, 아니면 FEM - Fixed End Moment 을 활용하느냐에 따라 접근 방식이 달라집니다.저는 이번 글에서 FEM을 이용하여 반력을 산정하고자 합니다.중요한 것은 새로운 방법을 적용시 얼마나 통찰력 있게 다른 시각을 적용해 빠르게 풀 수 있는가, 그리고 다른 문제에도 확장성이 있는가입니다.FEM 개념을 활용하는 것은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매우 만족스러운 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2. 실전 풀이 (30초 컷)FEM을 활용하면 다음 한줄의 풀이로 모든 것이 끝납니다.$(\frac{-3EI}{L^2}\delta + \frac{wL^2}{8})\times\frac{1}{L}+\frac{w\times ..

2025년 7급 응용역학 가형 22번 풀이

1. 개요7급 시험에서는 생명 문제이기 때문에, 저는 처짐 문제를 처음부터 식 세워서 푸는 것보다나중에 돌아와서 풀거나 찍을 수 있는 방식을 택합니다.즉, “최대 처짐 위치 x를 실전에서는 어떻게 빠르게 추론할 수 있는지”와“정석 풀이로는 어떻게 되는지”를 두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2. 실전 풀이 (30초 컷) 핵심 아이디어:“대략 집중하중 근처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하지 않을까?” 24kN 하중기준으로 9m와 3m 구간으로 나뉘는데,보 길이상 오른쪽보다 왼쪽이 훨씬 길기 때문에 왼쪽 쪽에서 더 큰 처짐이 발생할 것입니다.즉, 하중 위치(왼쪽 지점) 근처에서 최대 처짐 발생 예상.보기 3,4번은 √5 대략 2.3, √7을 대략 2.6 했을때 9m 를 초과하므로 제거보기 1은 √3을 대략 1.7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