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5년 서울시 7급 응용역학 4

2015년 7급 서울시 응용역학 10번 (해답을 넘은 해설 : 영향선과 FEM)

1. 개요이번에 살펴볼 문항은 2차 부정정 보에서 고정단 회전각을 구하는 문제입니다.이러한 부정정 보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응력법보다 변위법이 훨씬 효율적이며,보 구조의 변위법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기법이 바로 처짐각법(Slope-Deflection Method) 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순히 처짐각법 계산 과정을 소개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지점침하에 대한 어떤 포인트를 이해해야 실력이 올라가는지,처짐각법과 고정단 모멘트(Fixed End Moment) 의 관계,그리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영향선(Influence Line) 과의 연결점까지 함께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문제 풀이 이상의 가치가 있는 내용이니 차근차근 따라오시면부정정 보 해석에 대한 감각을 훨씬 쉽게 잡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2. 지점 침..

2015년 7급 서울시 응용역학 6번 (전단 변형률의 기본 정의에 충실하자)

1. 개요오늘 풀어볼 문제는 전단변형률(γ) 을 묻는 매우 기초적이지만,기출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유형입니다.특히 판요소의 비선형 전단 변형을 단순화하여 표현해 놓은 문제이므로공식만 적용하면 쉽게 풀립니다.그 전에 미소요소 dx, dy를 통해 정의된 전단변형률의 정의에 대해 살펴봅시다.2. 개념설명 : 전단 변형률 (전단변형률 텐서, 공학전 전단변형률)전단변형률 텐서(Shear Strain Tensor) 와공학적 전단변형률(Engineering Shear Strain) 의 개념을 함께 설명드리는 이유는 명확합니다.변형률을 좌표축에 따라 변환하거나,모어의 변형률 원(Mohr’s Circle for Strain) 을 활용할 때 사용하는 전단변형률은항상 텐서 전단변형률(εₓᵧ) 입니다. 7급·9급 공무원 ..

2015년 7급 서울시 응용역학 2번 (전형적인 평행축 정리 유형)

1. 개요7급·9급 응용역학 시험에서는단면2차모멘트, 극관성모멘트, 그리고 평행축 정리(Parallel Axis Theorem) 를 활용하는 문항이 매우 전형적으로 출제됩니다.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단면 성질(section properties) 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값들을 평소에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익혀 두어야 합니다.단면2차모멘트 I극관성모멘트 J형상계수(Shape Factor)단면계수(Section Modulus)소성단면계수(Plastic Section Modulus)단면상승모멘트(Ixy)대칭축에 따른 단면상승모멘트 특징 (대칭축 1개, 2개)이 정도는 사실상 필수 암기 사항에 가깝습니다.이제 이러한 개념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2015..

2015년 7급 서울시 응용역학 5번 (부정보의 지점침하)

1. 개요이전 글에서는 지점 침하(Settlement) 를 변위법(특히 처짐각법) 으로 어떻게 해석하는지 자세히 설명드렸습니다.https://oreostructure.tistory.com/58 보 구조물 변위법의 기본 - 처짐각법 pt 21. 개요이번 글은 처짐각법 Pt.1에 이어 두 번째 글입니다.https://oreostructure.com/48 보 구조물 변위법의 기본 - 처짐각법 pt 11. 개요단순보 양끝에 모멘트가 작용하면 휨은 어떻게 될까요?구조물을 스oreostructure.com핵심은, 지점 침하를 추가적인 변위가 아닌 “현 회전각(Chord Rotation)”으로 바라보는 관점입니다.이 관점을 적용하면, 복잡해 보이는 문제라도 변위법을 통해매우 간단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