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7급 군무원 응용역학.pdf
0.51MB
2025_응용역학_7급 _군무원_풀이.pdf
2.77MB
한줄 총평
“속전속결형” 시험이었습니다. 계산량이 적은 개념 확인 문제가 대다수였고, 기본 공식과 부호 감각만 정확하면 빠르게 고득점이 가능한 구성이었습니다. (예: 1~5번의 정역학·보 기본 문항, 16번 영향선 개념, 20번 중앙 처짐, 21~22번 단순 응력·반력 등)
난이도 분류
- 계산량이 적고 매우 쉬움 (22문항)
1, 2, 3, 4, 5, 7, 8, 9,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4, 25
→ 정역학/단면력·반력, 재료역학 기초, 영향선의 “정성 판단”, 표준 처짐·응력 공식 적용이 주류였습니다. (예: 1–5, 7–9, 11–15, 16–20, 21–22, 24–25) - 조금 계산량이 있고 쉬움 (3문항)
6, 10, 23
→ 위치 지정된 휨응력(6), 등강도 조건과 단면 2차모멘트 비(10), 연속보 처짐(23) 등으로, 식 전개는 필요하지만 공식·관계식만 알면 충분히 해결 가능했습니다.
출제 경향 한눈에 보기
- 정역학·보 기초(모멘트/전단/균등하중/센터): 1–5, 9, 10, 22
- 모멘트 부호·팔길이 정의, 등분포하중에서의 정·부모멘트 관계, 구간별 단면력 판별 등 기본기 점검형.
- 트러스·아치·프레임 개념: 2, 3, 4, 8, 9, 14
- 절점·내력 특성, 반원형 아치 정점 전단, 캔틸레버 비교, 프레임 반력 등 개념적 선별.
- 단면·도심·단면계수: 6, 7, 12
- 특정 위치 휨응력(6), 단면 성질 정의 옳고 그름(7), 도심 거리 산정(12).
- 재료역학(신장/응력변환/좌굴/열응력): 11, 13, 15, 17, 19, 24, 25
- 인장 신장량 제한, 기둥 이론, 경사면 응력, 응력-변형률 선도, 복합봉 열응력, 회전스프링 좌굴, 직렬 지지 하중분담 등.
- 영향선·부정정·처짐: 16, 18, 20, 23
- 정성 영향선(난이도 낮음), 고정단/중앙 모멘트 차이, 중앙 처짐, 연속보 처짐.
문제 풀이







반응형